서로 인접하고 있는 서울 강북.도봉.노원구 등 3개 구(區)가 쓰레기.음식물.재활용품 등을 재처리하는 시설을 공동 이용하기로 했다. 이들 구에서 생긴 소각용 쓰레기를 노원구에서 처리하고, 대신 음식물 쓰레기는 도봉구가, 재활용품은 강북구에서 맡아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런 자치구 간 혐오시설 '품앗이'가 이루어지면 내 고장에는 혐오시설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는 이른바 '님비(NIMBY) 현상'을 없앨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 김영한 환경과장은 20일 "처리시설을 공동이용하면 추가로 시설을 건설하지 않아도 돼 예산을 절감할 수 있어 각 구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예산절감이 가장 큰 이유=남아도는 시설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이득이 많다. 혐오시설을 공동이용하면 시설을 구별로 세우지 않아도 되고, 세우더라도 규모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1997년에 설립된 노원 자원회수시설의 최대 처리 용량은 하루 800t이다. 현재는 노원구에서 발생하는 쓰레기(하루 평균 140t)만 처리해 가동률이 18%에 불과하다.
도봉구 음식물처리시설도 처리 용량의 66%(하루 평균 100t) 정도만 가동 중이다. 반면 노원과 강북구에서 생기는 하루 260t의 음식물 쓰레기는 민간업체를 통해 다른 지역에서 사료로 쓰이거나 퇴비로 만든다.
현재 서울에는 모두 6곳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이 있지만 강동.서대문구 등 2곳의 처리시설만 다른 구와 공동이용하고 있다. 나머지 4곳은 해당 자치구의 음식물 쓰레기만 처리한다. 6곳 모두를 합쳐도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는 560t에 불과하다. 이는 서울시내에서 하루 평균 발생하는 전체 음식물 쓰레기(3200t)의 17.5% 정도다.
◆주민 설득 나서=문제는 주민들의 동의다. 특히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이 있는 노원구 주민 중 일부는 다른 구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을 꺼린다. 그러나 서울시는 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통해 주민들을 설득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들을 대상으로 난방비를 50% 깎아 주고 별도의 기금을 조성해 재처리시설 주변 환경 개선 사업을 약속했다.
도봉구 관계자는 "갈수록 쓰레기 처리 비용이 높아지는 현실에서 서울시내 모든 자치구가 각각의 자원회수시설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갖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각 구가 기존에 갖고 있는 시설을 최대한 공동으로 활용하면 불필요한 시설의 신설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재처리시설의 공동 이용은 자치구들이 모두 '윈윈(Win-Win)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정책"이라며 "자치구 간 협력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수기 기자 (2007.2.21 보도내용)
'環景은 生命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많은 하천의 물 어디로 갔을까? (0) | 2007.02.22 |
---|---|
혐오시설의 품앗이 (0) | 2007.02.22 |
물에 대하여... (0) | 2007.02.13 |
스타워즈가 현실로 (0) | 2007.02.04 |
물 걱정 없이 살 수 있을까 (0) | 2007.02.04 |